DNS란?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www.ex.com)을 네트워크 주소(192.168.1.0)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임.
예를 들어서 naver.com, google.com 모두 DNS를 가진 DN(도메인 네임)이라고 할 수 있음.
실제로는 서버의 IP주소를 나타내고 있음.
원래는 IP주소를 브라우저에게 제공하면 해당 서버에서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식으로 동작함.
근데 IP주소를 외우기는 힘드니 이름을 지어서 접근성을 키움.
DNS 작동 원리
- 웹 브라우저에 www.ex.com을 입력하면 PC에 저장된 Local DNS(기지국 DNS 서버)에게
www.ex.com이라는 hostname에 대한 IP주소를 요청 - Local DNS에는 www.ex.com의 IP주소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만약 접속했던 전적이 있으면 Local DNS에 접속정보가 캐싱되어있어서, PC에 IP주소를 주고 끝냄) - 접속했던 전적이 없으면 Local DNS는 www.ex.com의 IP 주소를 찾기 위해
다른 DNS 서버들과 통신(DNS 쿼리)을 시작함- Root DNS 서버로 요청 전송
* Root DNS 서버는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으며, TLD(Top-Level Domain) 서버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함 - TLD 서버로 요청 전송
Root DNS 서버로부터 TLD 서버(.com, .net 등)의 위치 정보를 받은 Local DNS는 해당 TLD 서버로 요청을 보냄
예를들어, www.ex.com일 경우 ".com" TLD 서버로 요청을 보냄
* TLD 서버는 도메인 이름(www.ex.com)의 Authoritative DNS 서버(권한이 있는 DNS 서버)의
위치 정보를 Local DNS에 제공 - Authoritative DNS 서버로 요청 전송
*Authoritative DNS 서버는 특정 도메인에 대한 최종 IP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음 - IP 주소 응답
Local DNS 서버는 Authoritative DNS 서버로부터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받음
이 IP주소는 Local DNS 서버에 캐싱되어 저장되고, 캐싱 기간이 끝날 때 까지 유지됨 - IP 주소 반환
Local DNS 서버는 PC로 해당 IP 주소를 반환함.
PC는 받은 IP 주소를 사용해서 해당 서버에 직접 요청을 보냄 - 웹 페이지 로드
최종적으로 PC는 해당 IP 주소로 서버에 연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받아오고,
브라우저는 이를 화면에 렌더링함
- Root DNS 서버로 요청 전송
이러한 DNS는 인터넷에서 사람과 기계 사이를 연결하는 필수적인 시스템이며, 웹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줌.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스팅(Hosting)이란? (0) | 2025.01.09 |
---|---|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란? (1) | 2025.01.09 |
브라우저와 그 작동원리 (0) | 2025.01.04 |
HTTP (2) | 2025.01.04 |
인터넷의 정의와 인터넷의 작동 원리 (1)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