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란?
브라우저(Browser)는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임
사용자가 웹사이트 URL을 입력하면 브라우저가 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해 서버와 통신하고,
결과를 화면에 렌더링함
대표적인 브라우저:
- Google Chrome
- Mozilla Firefox
- Microsoft Edge
- Apple Safari
가 있음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 주소창, 뒤로 가기/앞으로 가기 버튼, 북마크, 설정 메뉴 등
- HTTP 요청 처리
- 사용자가 입력한 URL을 기반으로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냄
- 웹 페이지 렌더링
- 서버에서 받은 HTML, CSS, JavaScript를 해석하여 화면에 표시
- 리소스 로드
- 이미지, 동영상, 폰트, 스크립트 등 추가 리소스를 다운로드
- 보안
- HTTPS를 통해 암호화된 통신 지원
- 악성 코드 및 피싱 사이트 차단
브라우저의 작동 원리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불러오는 과정은 다음과 같음
1. URL 입력 및 DNS 조회
- 사용자가 https://www.example.com 입력
- 브라우저는 **DNS(Domain Name System)**를 통해 도메인 이름(www.example.com)을 IP 주소로 변환
예: 93.184.216.34
2. 서버와 연결 (TCP/UDP)
- 브라우저가 서버와 연결을 설정:
- HTTPS: TLS/SSL 암호화로 보안 연결
- HTTP/3: UDP 기반 연결
3. HTTP 요청 전송
- 브라우저가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
4. 서버 응답
- 서버는 요청된 리소스(HTML, CSS, JS 등)를 HTTP 응답으로 반환
5. HTML 파싱 및 DOM 생성
- 브라우저는 HTML 파일을 읽고, DOM(Document Object Model) 트리를 생성
6. CSS 파싱 및 스타일 적용
- CSS 파일을 읽어 CSSOM(CSS Object Model) 트리를 생성
- DOM과 CSSOM을 결합해 렌더 트리를 생성
7. JavaScript 실행
- JavaScript 파일을 다운로드 및 실행
- DOM이나 CSSOM을 조작할 수 있음
8. 레이아웃 및 렌더링
- 렌더 트리를 기반으로 요소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
- 화면에 픽셀 단위로 렌더링
9. 추가 리소스 로드
- HTML에서 참조된 이미지, 동영상, 글꼴 등을 다운로드
10. 사용자 인터랙션 처리
- 사용자의 입력(클릭, 스크롤 등)을 감지하고 이벤트를 처리
브라우저의 주요 구성 요소
-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 브라우저 창, 주소창, 북마크, 설정 메뉴
- 렌더링 엔진
- HTML, CSS, JS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
- 예: Chrome의 Blink, Firefox의 Gecko, Safari의 WebKit.
- JavaScript 엔진
- JS 코드를 실행
- 예: Chrome의 V8, Firefox의 SpiderMonkey.
- 네트워킹
- HTTP/HTTPS 요청 및 응답 처리
- UI 백엔드
- 버튼, 폼 등 기본 UI 요소 렌더링
- 데이터 저장소
- 캐시, 쿠키, 로컬 스토리지 등을 관리
브라우저의 핵심 최적화 기술
- 캐싱
- 자주 사용하는 리소스를 저장해 로드 속도 향상
- 프리페칭(Prefetching)
- 사용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리소스를 미리 로드
- 렌더링 최적화
- Lazy Loading: 화면에 보이는 부분만 렌더링
- 레이아웃 변경 최소화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스팅(Hosting)이란? (0) | 2025.01.09 |
---|---|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란? (1) | 2025.01.09 |
DNS와 그 작동 원리 (0) | 2025.01.09 |
HTTP (2) | 2025.01.04 |
인터넷의 정의와 인터넷의 작동 원리 (1)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