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

CSS 기본개념

1. CSS란 무엇인가?CSS는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로, 웹 페이지의 스타일(디자인과 레이아웃)을 정의하는 언어임CSS의 역할:텍스트 색상, 크기, 글꼴 설정레이아웃 조정(정렬, 배치)배경 색상, 이미지 설정애니메이션 및 트랜지션 적용2. CSS의 구조와 문법CSS 코드는 선택자와 선언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음기본 문법: 예제:선택자 { 속성1: 값1; 속성2: 값2; }  h1 { color: blue; /* 글자 색상을 파란색으로 */ font-size: 24px; /* 글자 크기를 24픽셀로 */ }선택자: 어떤 HTML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할지 지정 (예: h1)속성: 변경할 스타일의 종류 (예: color, font-size)값: 해당 속성에 적용할 구체..

카테고리 없음 2025.01.15

HTML 기본 개념

1. HTML이란?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기본 언어임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역할을 함. 웹 브라우저는 HTML 코드를 읽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렌더링함HTML 태그의 종류: 인라인, 블록, 시맨틱 태그HTML 태그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분류로 나눌 수 있음그중에서도 인라인 태그, 블록 태그, 시맨틱 태그는 웹 개발에 있어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한 개념임1. 인라인 태그 (Inline Tags)인라인 태그는 요소를 한 줄에 표시하며, 주로 텍스트의 일부를 꾸미거나 특정 기능을 추가할 때 사용됨특징:요소가 줄 바꿈을 만들지 않음콘텐츠의 일부를 감싸기 위해 사용블록 요소 안에 포함될 수 있음주요 인라인 태그:: 하이퍼링크를 생성합니..

카테고리 없음 2025.01.11

Jpa - 영속성 전이

영속성 전이란?(Cascade Type)JPA에서 영속성 전이는 특정 엔티티의 상태 변화가 연관된 엔티티에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하는 기능임개발자가 관련 작업을 명시적으로 호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코드가 간결해지고 유지보수성이 높아짐 Cascade Type의 종류ALL설명: 모든 영속 상태 변경 작업에 대해 전이 적용적용 상황: 한 번의 설정으로 모든 상태 전이를 자동화하려는 경우주의점: 주 엔티티와 연관된 엔티티가 많을 때 잘못 사용하면 의도치 않은 대량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수 있음PERSIST설명: 주 엔티티가 **영속화(Persist)**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영속화적용 상황: 연관된 엔티티가 부모 엔티티와 함께 저장되어야 하는 경우예시: 게시글 저장 시 댓글도 함께 저장MERGE설명: 주 엔티..

Jpa 2025.01.09

호스팅(Hosting)이란?

호스팅(Hosting)은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를 인터넷 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버 공간과 기술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함간단하게 말하면 웹사이트나 데이터를 인터넷에 올려서 다른사람이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거임호스팅의 개념 웹사이트를 운영하려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서버가 필요함하지만 개인이 서버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은 비용과 기술적인 문제가 큼호스팅 서비스 제공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 공간과 인터넷 연결을 대여해줌호스팅 서비스를 통해 개인이나 기업은 서버를 직접 소유하지 않고, 쉽게 웹사이트나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음 호스팅에는 유형들이 여러가지가 있음.호스팅의 주요 유형웹 호스팅(Web Hosting)웹사이트 파일(HTML, 이미지,..

인터넷 2025.01.09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란?

도메인 네임이란?도메인 네임(Domain Name)은 인터넷 상에서 특정 웹사이트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교유한 주소임인터넷에서 사람들이 쉽게 기억하고 접근하기 쉽게 만들어진 이름임 도메인 네임의 특징 IP 주소를 대체컴퓨터는 IP 주소(예: 192.168.1.1)로 통신하지만,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는 사람들에게 어렵게 느껴짐그렇기에 도메인 네임은 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짐예:IP 주소: 172.217.161.110도메인 이름: google.com계층 구조도메인 네임은 점(.)으로 구분된 계층 구조를 가지고있음최상위 도메인(TLD): 도메인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며 도메인의 종류를 나타냄예: .com, .org, .net, .kr두 번째 수준 도메인: TLD 왼쪽에 위치하며, 사이트의 ..

인터넷 2025.01.09

DNS와 그 작동 원리

DNS란?DNS(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www.ex.com)을 네트워크 주소(192.168.1.0)로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임. 예를 들어서 naver.com, google.com 모두 DNS를 가진 DN(도메인 네임)이라고 할 수 있음. 실제로는 서버의 IP주소를 나타내고 있음.원래는 IP주소를 브라우저에게 제공하면 해당 서버에서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식으로 동작함. 근데 IP주소를 외우기는 힘드니 이름을 지어서 접근성을 키움.DNS 작동 원리웹 브라우저에 www.ex.com을 입력하면 PC에 저장된 Local DNS(기지국 DNS 서버)에게www.ex.com이라는 hostname에 대한 IP주소를 요청Local DNS에는 www.ex.com의 IP주소가 있을 ..

인터넷 2025.01.09

Thymeleaf에서 스프링Bean 등록된 객체 가져와서 사용

1. 빈 등록빈으로 등록된 객체는 @Component, @Service, 또는 @Bean을 사용하여 등록할 수 있음여기서는 @Component를 사용해서 진행을 할 거임package com.example.demo.service;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Component("myBean")public class MyBean { public String getWelcomeMessage() { return "Welcome to Spring Boot and Thymeleaf!"; }}여기서 @Component("myBean")은 빈의 이름을 myBean으로 지정함이 이름을 타임리프에서 참조하게 됨(이름을 지정 안해도 빈으로 등록..

Spring 2025.01.05

브라우저와 그 작동원리

브라우저란?브라우저(Browser)는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임사용자가 웹사이트 URL을 입력하면 브라우저가 HTTP/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해 서버와 통신하고,결과를 화면에 렌더링함대표적인 브라우저:Google ChromeMozilla FirefoxMicrosoft EdgeApple Safari가 있음브라우저의 주요 기능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주소창, 뒤로 가기/앞으로 가기 버튼, 북마크, 설정 메뉴 등HTTP 요청 처리사용자가 입력한 URL을 기반으로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냄웹 페이지 렌더링서버에서 받은 HTML, CSS, JavaScript를 해석하여 화면에 표시리소스 로드이미지, 동영상, 폰트, 스크립트 등 추가 리소스를 다운로드보안HTTPS를 통해 암호화된 ..

인터넷 2025.01.04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임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서 통신을 할 때 사용됨예를 들어,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HTTP를 통해 서버로 요청(Request)이 전송되고,서버는 응답(Response)을 보내는 방식임HTTP의 주요 특징클라이언트-서버 구조클라이언트(예: 웹 브라우저)가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이를 처리하여 응답함비연결성(Connectionless)요청과 응답이 끝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연결이 끊어짐. 이후 새로운 요청이 있으면 다시 연결함무상태성(Stateless)HTTP는 이전 요청이나 응답에 대해 기억하지 않음. 상태를 유지하기위해 쿠키, 세션, 토큰 등의 방법을 사용함텍스트 ..

인터넷 2025.01.04

Java - 프록시 객체와 프록시 패턴

1. 프록시 객체(Proxy Object)정의프록시 객체는 원래 객체를 대신하여 동작하는 대리 객체이며, 원래 객체에 대한 간접적인 접근을 제공하고, 원래 객체의 작업을 지연시키거나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객체의 실제 동작을 가리키는 참조(reference) 역할을 함특징프록시 객체는 실제 객체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또는 구조)를 가짐프록시 객체를 통해 실제 객체를 호출하거나, 호출 전에 추가 작업(로깅, 인증, 지연 초기화 등)을 수행할 수 있음예시: JPA에서의 프록시 객체JPA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엔티티를 실제로 가져오기 전에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함@Entity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Java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