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란?
유래 ->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뜻의 `인터 네트워크(inter-network)`라는 말에서 유래했음.
정의 -> 전 세계의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한 거대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며, 인터넷은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기반 구조임.
인터넷의 작동 원리
1.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
- 클라이언트 : 요청을 보내는 사용자 장치(예: 컴퓨터, 스마트폰)
- 서버 :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반환하는 장치(예: 웹 서버, 파일 서버)
----->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에 페이지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는 해당 데이터를 반환
2. 주소 체계와 DNS
-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이 고유한 IP를 통해 서로를 식별함
(예 : 192.168.1.1 또는 IPv6 형식)
- 도메인 이름 : IP 주소 대신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게 만든 이름(예: www.google.com)
-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쉽게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3. 데이터 전송 방식
- 데이터는 패킷(packet)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뉘어 전송됨
- 패킷은 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를 포함하며, 최적의 경로로 전송됨
- 목적지에서 패킷을 조립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함
4. 프로토콜
정의 -> 네트워크에서 컴퓨터 간 통신을 규정한 규착과 표준을 의미함.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보내고, 받으며, 처리해야 하는지를 정의하는 규칙의 집합으로,
컴퓨터들이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된 약속
- 인터넷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동작함
- TCP/IP : 데이터 전송의 기본 프로토콜로, IP는 경로 짖어 및 주소관리를, TCP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순서를 보장함
- HTTP/HTTPS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웹 데이터 요청/응답
-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 SMTP/IMAP : 이메일 전송과 수신을 위한 프로토콜
5. 라우터와 네트워크 장비
- 라우터 : 데이터를 최적의 경로로 전송하는 장치
- 스위치 : 네트워크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달
----->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이러한 네트워크 장비가 효율적인 전송을 지원함
6. 통신 과정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URL 입력(예: https://www.example.com)
- 브라우저가 DNS를 통해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
- 클라이언트가 해당 IP 주소의 서버로 요청 데이터를 전송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
- 브라우저가 응답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웹페이지 표시
7. 보안
- HTTPS :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암호화를 적용하여 안정성을 보장
- 방화벽 : 외부로부터의 불법 접근 차단
추가적인 정리
- 인터넷과 웹의 차이점
- 인터넷 : 전 세계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술적 인프라
- 웹 : 인터넷 위에서 작동하는 '서비스'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음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스팅(Hosting)이란? (0) | 2025.01.09 |
---|---|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란? (0) | 2025.01.09 |
DNS와 그 작동 원리 (0) | 2025.01.09 |
브라우저와 그 작동원리 (0) | 2025.01.04 |
HTTP (1) | 2025.01.04 |